폐경 되기 5년 전부터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난다.
1. 난소에 남아 있는 난포의 수가 급격히 감소한다.
2.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에 대한 난포의 감수성이 둔화된다.
이로 인하여 난소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게 된다.
1.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감소된다.
2. 인히빈(inhibin)의 생성이 감소된다.
인히빈의 감소는 뇌하수체의 되먹임(feedback)에 의하여 FSH의 증가를 유발한다.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에스트로겐 분비폭발(surge)을 만들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뇌하수체는 FSH 분비폭발 및 LH 분비폭발을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배란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
폐경이 오기 이전에 위와 같은 내분비 변화가 초래되므로 이에 따라 월경 양상도 달라지게 된다. FSH의 증가에 의하여 난포 성숙이 가속화됨에 따라 월경 주기의 난포기(follicular phase)가 단축된다. 따라서 월경 주기는 3주 간격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빈발월경(polymenorrhea)이라고 부른다.
빈발월경은 2-3년 동안 지속되는데 에스트로겐의 분비폭발을 만들지 못하는 시기로 접어들면 이번에는 월경은 2-3개월마다 소량의 무배란성 월경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희발월경(oligomenorrhea)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폐경 직전의 월경 양상은 마치 초경이 시작하여 12개월 내지 18월 동안 무배란성 월경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초경 이후 12개월 내지 18개월 동안 무배란성 월경을 하는 기간동안에 기능성 자궁출혈이 잘 발생하듯이 폐경 직전의 여성에도 이 기간 중에 무배란성 월경을 하기 때문에 기능성 자궁출혈이 잘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