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하거(紫河車)란 ?
자하거란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붉은 물수레” 라는 뜻으로 산후의 태반을 일컫는 말입니다.
“자(紫)”는 북쪽의 빛이고, “하(河)”는 북쪽에 흐르는 물의 이름이며,, “거(車)”는 고대 수리학에서 태아의 99數가 만족하게 타고나온다고해서 태반을 자하거라고 부릅니다.
천지창조의 혼돈스런 상태와 태아가 형성되는 상황이 비슷하다하여 일명 “혼돈피(混沌皮)”라고도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자하거를 두고,“기운과 영양이 부족하여 몹시 야윈 것과 허약하고 과로로 극도로 몸이 상한 것과 기미가 돋고 피부가 검게되는 것을 치료하고, 血藥과 함께 넣으면 陽氣가 세지고 아이를 낳게 되며, 風藥과 함께 넣으면, 정신 잃는 증상을 낫게 하며, 만자에게는 精을 보하고, 여자에겐 血을 보하며, 아무리 병이 위중해도 한번만 먹으면 하루, 이틀은 더 살 수 있다”고 했습니다.
태반이란 ?
모체의 혈액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혈액에 확산하고, 태아의 혈액에 생긴 탄산가스를
모체의 혈액에 확산하는 등의 다리역할을 하는 장기이고,
또한 특수 유해물질의 통과를 저지하여 유해물질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자하거의 역사
기원전 400년경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데스가 그의 저술중에 태반의 약효를 해설함.
기원전 200년경 진나라의 시황제가 불로장수의 묘약으로 이용함.
600~900년경 당나라의 의학서 '본초합유' 안에 '인포', '포의'라고 해 약으로서 취급됨.
1500년경 명나라때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 에 자하거의 이름으로 다뤄짐.
1930년대경 소련의 의대교수인 필라토프박사의 연구 - '조직요법'
환부에 냉장보존했던 플라센타 조직을 매몰하여 병든 조직을 치유하는 방법.
1956년대 '조직요법' 이 일본에 전해지면서,태반주사액을 개발하기 시작,
1956년 후생성으로부터 '멜스몬' 이라는 제품명으로 허가 취득하여 판매시작함.
자하거의 성분
*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로이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르기닌 등
필수아미노산 7종과 기타 아미노산 8종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이 가수분해된 저분자 펩타이드들이 다량 함유되어 다양한 약리작용을 나타냅니다.
* 자하거가수분해물에 함유된 아미노산인 티로신, 페닐알라닌과 핵산의 일종인 우라실이
토코페롤 및 비타민 C 보다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냄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상처 부위에 작용하는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를 돕는 NADPH 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신체의 상처치유 능력을 향상시키고 빠른 회복을 촉진합니다.
* 글리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으로 구성된 수 종의 콜라겐 펩타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강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며, 피부조직 재생등에 도움을 줍니다.
* 핵산염의 일종인 폴리데옥시뉴클레오티드(PDRN) 등 면역체계 활성에 작용하는 다수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점액 다당류의 일종인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냅니다.
* 망간, 칼슘, 구리, 인, 철 등 인체에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 원소와 포스파디딜콜린 같은
인지질, HGF 같은 각종 성장인자 및 비타민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자하거의 임상 효능
1. 갱년기장애 증상의 개선
일본에서의 임상시험 결과 1개월 투약 후 약 94%의 환자에서 전신권태감, 홍조, 불면증,
어깨결림, 요통 등 갱년기장애 증상이 개선됨을 보였으며, 1~4개월 간 투약한 결과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호르몬 균형이 회복됨을 보였습니다.
2.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 탄력 개선
기미.주근깨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의 생성과정을 단계별로 60% 이상 억제하여 잡티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이미 생성된 멜라닌을 백색멜라닌으로 환원시킵니다.
또한 천연보습인자 및 다양한 콜라겐 펩타이드들이 함유되어 피부의 주름과 탄력을 개선합니다.
3. 간기능 개선작용
주요 성분 중 하나인 간세포성장인자 (HGF)가 손상된 간세포를 재생시켜 간기능의 회복을 촉진합니다.
만성 간기능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GOT, GPT, ALT 등 수치의 향상을 보였으며
총 유효율은 76%에 달하였습니다.
4. 피로회복 및 자양강장
동물시험 결과 수영시간이 30% 이상 증가하는 등 강력한 항 피로효과를 보였으며,
실제 임상 사례에서도 80% 이상의 환자들이 확실한 피로회복 효과를 보인다고 응답했습니다.
5. 염증및 통증 개선작용
고유의 항산화효과 및 세포재생 촉진작용으로 염증 및 통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합니다.
변형성관절증에 대한 임상결과 약 70%에 달하는 환자들에게 유효함을 보였으며, 만성적인 무릎 관절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최대 80%의 통증 개선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동물실험에서도 스테로이드 제제(인도메타신)보다 높은 항염증효과를 나타냈습니다.
6. 호르몬 균형 회복 및 성선기능 개선작용
난소를 적출한 실험동물에서 난소기능의 감퇴를 정상화시킴이 확인되었으며,
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77%의 환자들이 성선기능 개선효과를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