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달에 한 번 월경을 한다.
보통 사춘기에 시작해 30~40년 정도 주기적으로 월경을 하다가 50세를 전후로 폐경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기를 폐경기 또는 갱년기라고 한다. 즉 갱년기란 여성의 난소 기능이 소실되면서 호르몬의분비가 적어져 규칙적이던 월경이 없어지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는 생리적 변화와 함께 신체적•정신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폐경기에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일단 신경 내분비계 불균형에 의해 안면홍조를 느끼게 된다. 우울, 불면, 피부노화, 유방위축, 성기능저하를 비롯해 호르몬 분비가 적어져 질과 요도부가 위축돼 성교통이나 요도염과 같은 증상이 생기기 쉽고 동맥경화증이나 심혈관계 질환이 잘 발생한다.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도 이전보다 훨씬 높다. 골다공증은 갱년기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되는 질병인데 늘 몸이 무겁고 피로하며, 뼛속에서 바람이 나는 것 같이 시리고 소변을 자주보게 되면 골밀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뼈는 피부가 재생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낡은 뼈와 새로운 뼈의 끊임없는 교체작업에 의해 유지된다. 폐경에 이른 여성들은 바람든 무처럼 뼈가 약해지기 쉬운데 이러한 원인은 파괴되어 없어지는 뼈에 비해 새로 생성되는 뼈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또, 무력감, 불안, 집중력 저하 등이 오며 때로는 극심한 우울 증세로 자살에 이르는 경우까지 있다.
갱년기는 당사자 본인뿐 아니라 주변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며, 심할 경우 갱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치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합성호르몬 요법은 중독성에 유방암등의 위험이 높고 근치가 되지 않는데 비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한방요법으로는 난소와 부신 등 내분비계를 도와주는 약재를 통해 치료하는 방법이 있으며, 호르몬 요법의 대체법으로 의미가 있다.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비약물 요법도 알아두면 유용하다.
가슴, 어깨와 허리를 꼿꼿이 편 상태를 유지하고 의자 뒤에 엉덩이를 바짝 붙인 자세로 뼈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신체를 상하로 흔들거나 중력을 받는 체중부하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데, 등산, 걷기, 에어로빅 이 도움이 된다.
또 골다공증은 마른 체격을 가진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적적할 체중은 '체중부하효과'와 낙상으로 인한충격을 완화시키는 등 골다공증 치료에 도움이 되므로 칼슘만 고집하지 말고 균형 잡힌 식사를 고집하는 것이 좋다.
단백질과 칼슘이 고루 들어간 곰탕, 어죽 등이 매우 좋은 음식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