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성인이 되고부터 가장 조심해야 할 병 가운데 하나가 자궁근종이다. 자궁근종은 최근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부인과 여성의 약 20%가 자궁근종이나 근종아를 지니고 있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성숙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걸릴 확률이 있으며, 35세부터 50세까지의 여성에 흔한 질병이다.
자궁근종은 자궁에 혹이 생기는 병이다. 자궁의 평활근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암과는 상관없은 양성종양이다. 사마귀 같은 군더더기 살 혹으로 생각하면 된다. 자궁근종은 1개만 생기는 경우보다 여러 개가 한꺼번에 생기는 경우가 더 많다. 위치적으로는 장막하근종,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선근종등이 있다.
자궁근종의 증상은 생리가 길어진다거나 양이 많아지고 덩어리가 나오기도 하며 하복부에 딱딱한 혹이 만져지거나 생리통, 하복통, 요통, 빈혈, 출혈, 압박감 등의 증상을 겪는다.
원인은 기(氣), 혈(血)이 울체되어 생긴다. 즉 신경을 과도하게 쓰거나 소화기계의 부조화, 기온이 부적합하여 기(氣)의 힘으로 운행되는 혈액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해 차가워지거나 열이 나기도 하는데 월경불순과 각종 자궁질환이 거듭되면서 자궁에 근종이 생기게 된다.
젊은 여성들에게는 자궁근종이 커지는 성질이 매우 강해서 자칫 내버려두면 자궁 전체가 자궁근종으로 변해버리는 수도 많아서 영구불임을 부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한방에서의 치료는 극단적으로 자궁을 들어내는 방법이 아닌 있는 상태에서 크지 않게 다른 고통 없이 관리해 주는 것이 장점이다.
서초구 잠원에 위치한 하이미즈 한의원은 난막강화요법을 통해 자궁근종을 치료하고 있는데 다양한 임상과 사례로 그 효능이 알려지고 있어 자궁근종에 기인한 불임부부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난막강화요법이란 하이미즈 한의원 박영철 원장의 자궁 치료기법으로 자하거를 이용하여 자궁 내막을 튼튼히 하는 요법이다 여기서 자하거란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인태반을 일컫는 말이며,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건조한 것을 가르킨다.
태반은 모체의 혈액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혈액에 확산하고, 태아의혈액에 생긴 탄산가스를 모체의 혈액에 확산하는 등의 다리역할을 하는 장기인데 특수 유해물질의 통과를 저지하여 유해물질로부터 태아를 보호하기도 한다.
아래는 하이미즈 한의원에서 자하거 치료를 받은 실제 환자사례 이다.
전남 여수에 거주하는 조** 씨는 30대 초반의 환자였다. 결혼 2년 차로 중절 수술의 경험이 2번 있었다. 3년 전부터 생리통이 심하고 덩어리가 검붉게 많았으며, 출혈량도 많아 생리 때만 되면 스트레스로 예민해져서 남편이나 주위 사람들한테 짜증을 많이 내어 본인 스스로도 힘들어서 병원 체크를 한 결과 점막하근종과 자궁선근종이 발견되었다.
근종의 크기가 4~5cm의 크기로 산부인과에서는 위치적으로도 임신이 어려울 거라고 우선은 기다렸다가 수술을 해보고 시험관 시술로 임신을 유도하자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혹시 다른 방도가 있지 않을까 하여 수소문 하여 본원에 내원한 경우였다.
이런 경우 치료나 접근에 매우 조심스러운데 그 이유는 임신을 위한 치료 혹은 임신이 되었을 때 호르몬 변화로 근종이 더욱 증대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후에 여성이 폐경이 되면 호르몬의 저하로 대개 근종이 위축되기가 쉬워진다.
그런 설명을 하고 우선은 더 이상 근종이 커지지 않도록 처방하여 3개월간 잡은 후에 내막을 조심스레 강화시키는 치료를 다시 3개월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생리의 상태는 점점 맑아지는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근종은 약간의 위축됨을 나타내 주었다.
난막강화요법을 2개월째 하던 중 드디어 임신이 되었다. 운 좋게 근종과는 반대쪽에 자리를 잡아 크게 지장이 없어서 유산이 안 되도록 4개월 이상 약을 써가며 관리를 해주었다. 비록 9개월째 조산은 하였지만 별 탈 없이 아이가 태어나 기쁨을 안겨주었다.
박영철 원장은 또” 자궁근종을 예방하려면 쌓인 스트레스를 그때그때 풀어야 하며, 차가운 음식과 차가운 운동은 삼가야 한다. 이런 조건만 잘 지켜도 자궁은 건강하게 보호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