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생리통, 자궁근종 원인
직장인 김모(30) 씨는 평소 생리통이 있었지만 일주일을 참고 넘어가는 패턴을 반복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생리통의 극심한 통증 때문에 약국에서 파는 진통제만으로도 견뎌오다가 최근에 산부인과를 찾아 갔다가 자궁근종 진단을 받았다.
자궁근종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종양이며 양성질환이다. 또한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내 근종으로 나뉘게 된다. 여성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35세 이상의 여성에게서 50%정도 나타난다. 또한 최근 20대의 젊은 미혼여성 사이에서도 자궁근종의 발병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평상시 생리통이 과도할 경우 한번쯤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하이미즈한의원 박영철 원장은“자궁근종 환자 중 50% 이상은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해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보지 않고서는 자신의 자궁근종 여부를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근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동반되는 증상들이 몇 가지 있다. 그 중 가장 흔한 증상이 월경과다이다. 보통 움직임에 지장을 줄 정도로 출혈량이 극심하여 어지럼증이나 순간적인 빈혈 증세를 동반한다. 이외에 생리통, 골반 통증, 골반 압박감, 빈뇨, 성교 시 통증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궁근종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이 일부 자궁근종의 성장을 자극하는 하거나, 또한 출산이나 유산 이후 기능적인 회복과 조리가 부족한 경우 등의 원인으로 자궁 골반 내의 순환장애가 생겨 생리를 통해서 배출되지 못한 어혈과 노폐물이 정체되면서 발병하고 진행되기도 한다.
30∼40대 여성들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식생활과 과도한 스트레스, 무리한 다이어트 등으로 20대에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자궁근종은 생리하는 과정에서 생리혈의 원활한 배출과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항상 자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매달 건강한 생리배출에 힘써야 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경과를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이미즈한의원 박영철 원장은 “자궁근종의 치료법은 한약 처방과 침, 뜸, 좌훈 등을 병행하며 근본적으로 몸의 기능을 돕고 뭉친 어혈을 풀어 근종의 크기를 줄여주고, 더 이상 근종이 커지지 않도록 처방해 자궁 내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했다.